건축기사 필기 실기 관련 용어 정리입니다.
정리하다 보니까 양이 너무 많아져서 게시물을 나누어서 게시하게 되었습니다!
더욱 더 많은 용어가 다른 게시글에도 정리 되어 있습니다.
↑ 저의 블로그 홈에 보이시는 돋보기 모양에서 찾고 계신 용어 및 단어를 "검색"하시면
그 용어에 관한 다른 게시물 목록이 나타납니다.
그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.
게시물 클릭 후 키보드 "Ctrl+F"를 통해 용어를 검색하시면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^^
백화점 ,학교 건축구조(이용률 순수율 달톤형 플라톤형 종합교실형 교과교실형 폐쇄형 분산병렬형 등)
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
동선 부분
- 고객동선과 상품동선은 반드시 분리하여야 한다.
각 면적 비율
- 판매부분 연면적의 60~70% 수준으로 배치하여야 한다
- 이 면적 중 순수한 매장의 면적은 연면적의 50%로 한다
- 순수한 매장의 면적 중 진열장의 배치 면적은 50~70%로 한다
- 통로의 면적은 30~50% 수준으로 한다
백화점 내 기둥의 간격 결정 요소 4가지
- 지하주차장
- 진열장을 배치하는 방식
- 에스컬레이터
일반매장과 상설매장
- 통상적으로 백화점의 매장은 일반매장으로 되어 있으며, 특별매장(ex.상설매장)은 일반매장 안에 설
치하는 것이다
출입구 수
-도로에 면하는 곳에 30m마다 1개씩 출입구 설치한다
에스컬레이터 특징
- 엘리베이터보다 용량이 10배 이상 크며 고객이 기다리지 않고 바로 이용 가능하다
- 수송량에 비해서 점유면적의 비중이 적다
에스컬레이터 직열식 배치 : 점유면적이 크지만 승객 시야가 좋아진다, 승객의 시선이 한쪽 방향으로 고정이 된다.
*병렬식 배치 : 백화점 내부를 한번에 내려다 볼 수 있다
*교차식 배치 : 점유면적이 작고, 매장 내부를 볼 수 있는 시야가 줄어든다
핵상점 특징
- 고객들을 쇼핑몰의 핵으로 유입시키는 기능
몰[mall] 특징
쇼핑몰 안에 주요 동선을 통해 고객들을 각 상점으로 유도함과 휴식처의 기능
몰의 너비는 통상적으로 약 6~12m이며, 각 핵상점들 사이에 몰의 길이는 240m를 초과하면 안된다.
길이 20~30m마다 특색 및 변화를 주어서 심심한 느낌이 들지 않게 한다.
코트[court] 특징
몰 사이사이에 고객들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일컫는 말이다. 고객의 휴식처 역할이다.
무창 계획 이유
- 진열면을 증가시키거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
- 창의 역광에 의한 불리한 요소를 없애기 위해
- 매장 안의 냉방 및 난방 효율 증대를 위해
- 벽면에 상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
교지의 적절 형태
- 장변과 단변의 비율운 4:3이 적합하다
교지 적절한 면적
초등학교 - 12학급이하 : 20㎡, 13학급 이상 : 15㎡
중학교 - 480명 이하 : 30㎡, 480명 초과 : 25㎡
고등학교 - 인문계 고등학교 : 70㎡, 실업계 고등학교 : 110㎡
대학교 - 60㎡
교지의 면적은 교사 면적에 비해 약 2 ~ 2.5배가 더 필요하다. 통로계동의 면적은 교사 면적의 약 30%이다
교사 배치 형태 및 종류
[폐쇄형]
- 부지의 북쪽부터 건축을 시작하며, 'ㄴ'자에서 'ㅁ'자로 완성한다
- 다른 형태에 비해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
- 화재 등에 취약하다
- 통풍, 채광 및 일조 등 환경이 불균등하다
- 운동장에서의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
- 교사 가까운 곳에는 활용되지 않고 있는 부분이 많이 생긴다.
[분산병렬형]
- 통풍, 채광 및 일조 등 환경 균등하다
- 구조의 계획이 간단하다
- 건물 사이사이에 정원, 놀이터 등이 만들어져 생활 환경 우수하다
- 넓은 땅이 필요하다
- 편복도로 하게 될 경우에는 복도 면적이 커지게 되며, 단조롭게 된다
학교별 학생 1인당 교사의 면적
- 초등학교 : 3.3 ~ 4.0㎡
- 중학교 : 5.5 ~ 7.0㎡
- 고등학교 : 7.0 ~ 8.0㎡
- 대학교 : 16㎡ 이상
이용률 및 순수율
- 이용률 : (교실을 사용하는 시간/1주일 평균 수업 시간) x 100
- 순수율 : (어떤 과목을 위해 사용하는 시간/그 교실을 사용하는 총 시간) × 100
교실의 각 배치 형태
- 클러스터형 : 한 교실을 2~3개의 소규모 단위로 세분화해서 그룹짓는 것
- 엘보우 엑세스형 : 복도를 교실에서 다소 이격시키는 것
open school(오픈스쿨) 특징
- 무학년제를 도입
- 학급의 단위를 부정
- 팀별 교육
교실별 운영 형태
[종합교실형(A형)]
- 교실수와 학급수는 동일하다
- 학생이 이동하는 일은 없다.
- 초등학생 중 저학년 교실에 적합한 형태
[일반교실형+특별교실형(U형+V형)]
- 일반교실을 각 학급마다 하나씩 운영하며, 기타 특별 교실을 운영한다
- 특별교실을 증가시키면, 일반교실 이용률이 감소한다.
- 시설이 높아지면 비경제적이 된다.
[교과교실형(v형)]
- 모든 학교의 모든 교실은 특정 과목을 위해 만들어진다. 일반교실은 존재하지 않는다.
- 순수율이 높다. 단, 순수율이 100%라고 해서 이용률도 높은 건 아니다.
- 시간표별 학생 이동이 심하다.
- 이동을 할 때 소지품 보관에 관한 대책이 필요하다
[E형(U형+V형과 V형의 중간 수준)]
- 일반교실 수는 학급수보다 더 적다
- 특별교실 순수율이 무조건 100%로 유지되지 않는다.
-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지만, 학생 이동이 많은 형태.
[플라톤형(P형)]
- 모든 학급을 2개의 분단으로 분류하고 한 쪽이 일반교실을 이용할 때는, 다른 한 쪽은 특별교
실을 이용하는 방식이다
- 이용률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동을 적정 수준으로 할 수 있다
- 교과 담임제 및 학급담임제를 함께 사용한다
- 시간을 배분함에 있어 노력이 요구된다
-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과밀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
[달톤형(D형)]
- 학급과 학년을 모두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은 각자의 능력에 맞춰 과목을 골라 수료하면 졸업.
- 입시학원 형태라고 할 수 있다
학년별 블록 계획
- 저학년층은 다른 학년과의 접촉을 줄인다
- 초등학교 저학년은 종합교실형이 적절하다
- 일반교실과 특별교실을 각각 떨어지게 하는 형태가 좋다
- 특별교실은 과목에 관한 융통성, 보편성 및 학생 이동 소음 방지를 고려하며 배치
학교 건축 시 고려 사항
- 학교를 건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확장성 및 융통성이다.
- 확장 시 최대 1,000명으로 한다.(600~700명이 가장 적합한 숫자이다.) 융통성을 통해 공간 다목적성에 대해 표현할 수 있다.
채광 및 조도
- 채광창 유리의 면적은 교실의 1/10이상이어야 한다
- 칠판 조도가 책상 조도보다 높아야 한다
강당 1인당 면적
- 초등학교 : 0.4㎡
- 중학교 : 0.5㎢
- 고등학교 : 0.6㎡
계단 보행 거리
- 내화구조일 경우 : 50m 이내로 한다.
- 내화구조가 아닐 경우 : 30m 이내로 한다.
학교의 농구장 면적
- 최소 400㎡이며, 500㎡ 수준이 적합하다
- 통상적으로 강당과 겸용하라 수 있다
반응형
'(필기)건축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기사 호텔(숙박면적비 커머셜 레지던셜 리조트 아파트먼트 등) (0) | 2020.09.14 |
---|---|
건축기사 도서관(자유개가식 안전개가식 반개가식 폐가식) 등 (3) | 2020.09.14 |
은행, 상점(대면판매 측면판매 동선 등) 건축 구조 (0) | 2020.09.09 |
개실시스템 개방식배치, 오피스 랜드스케이핑, 코어 계획, 기둥 간격 (0) | 2020.09.09 |
건축기사 레드번 시스템(슈퍼블록 쿨데삭), 유효율, 1인당 바닥면적 기준, 남녀 구성비 (0) | 2020.09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