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기사 및 산업기사의 필기와 실기에서 자주 나오는 항목인 부정정 차수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.
부정정차수에 대한 계산법은 매우 간단하며, 계산법만 알고 있어도 이에 관한 문제는 반드시 맞힐 수 있으니 꼭 숙지해놓는 것이 좋아요~
그럼, 부정정차수 계산 및 구하는 방법에 대해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위에 보이시는 그림이 부정정차수 문제에서 나오는 그림입니다.
이 문제를 예시로 들어서, 부정정 차수를 계산하는 법을 설명드리도록 할게요.
우선적으로! 아래 보이시는 이 부정정차수 공식을 알아두시면 됩니다
위에 보이시는 부정정차수 공식에서 N, S, R, K라는 알파벳이 보이는데요.
N : 반력 수
S : 부재 수
R : 강절점
K : 절점의 수
를 의미 합니다. 부정정차수 계산을 위해선 이 부분도 반드시 암기를 해두셔야 합니다!
다음으로 반력 수(N), 부재 수(S), 강절점의 수(R), 절점의 수(K)를 구하는 법을 각각 말씀드릴게요.
위에 빨간색 동그라미를 친 부분이 바로 부정정 차수 공식 중 N(반력수)를 구하기 위해 확인하는 곳입니다.
N(반력 수)를 구할땐 이 그림을 이용하여 숫자를 구하시면 됩니다.
위 문제에서는 왼쪽 반력이 3이고, 오른쪽 반력이 2이므로 이문지의 N(반력)의 총 값은
N = 2+3 → 5 입니다.
다음은 부정정차수 공식 중 S(부재수)를 구해보겠습니다.
위의 그림에서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곳이 모두 부재입니다.
그러므로 위 문제의 빨간 동그라미는 13개이기 때문에
S = 13입니다.
위 그림에서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이 부정정차수 공식 중 바로 R(강절점)를 확인하는 곳입니다.
R(강절점)를 구하려고 할 때는 이 그림을 활용해 구하시면 됩니다.
부재와 부재끼리 만나는 곳에 따라 숫자가 달라진다는 점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.
이 그림을 이용하여 위 문제에서의 강절점을 모두 구해서 값을 더하면
R = 10 입니다.
위 그림의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의 숫자를 세어보시면 K(절점 수)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모든 점의 갯수를 세면 됩니다. 갯수를 세어보니
K = 10입니다.
부정정차수 공식에 들어가는 숫자들을 모두 구해봤는데요
그러면 답을 구하기 위해! 이 숫자들을 공식에 대입하여 최종적으로 부정적 차수를 구해볼게요.
공식을 다시 한 번 반복해서 말씀드리면 (N + S + R) - 2K 입니다.
이 공식에다가 위에서 구한 숫자들을 모두 대입하면
(5 + 13 + 10) -2*10 = 8이 됩니다.
따라서, 이 공식의 답이 8이므로 위 그림은 "8차" 부정정구조물입니다.
※답이 -1, -2, -3...마이너스가 나올 경우 → 불안정 구조물
답이 0이 나올 경우 → 안정 정정구조물
답이 1, 2, 3..플러스가 나올 경우 → N차 부정정 구조물
이라고 칭하므로 알아두시기 바랍니다!
이상으로 부정정차수 계산 및 구하는 법이였습니다.
반응형
'(실기)건축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력볼트접합 정의, 종류, 마찰면 처리, t/s형 고력볼트 (0) | 2020.08.29 |
---|---|
커튼월 분류(주프레임 기준), 조립식 공법 종류, mock up test (0) | 2020.08.29 |
벽타일 붙이기 순서, 떠붙임공법 압착공법 개량압착공법 밀착공법, 붙임재 사용법 (0) | 2020.08.29 |
방수 공사 영어 표시, 실링방수제 성능, 금속기와 설치 순서, 타일의 소지별 용도별 종류 (0) | 2020.08.29 |
Entrained air의 목적, 서머콘 프리팩트 진공 콘크리트, 콘크리트 균열 시 대처 (0) | 2020.08.29 |
댓글